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혹시 '프로 손절러'? 사소한 실망에 관계를 끊어내는 진짜 이유 (feat. 흑백논리)

Life Challenge

by Amor_H 2025. 9. 7. 08:37

본문

반응형

우리는 오늘 직장에서 너무 힘든 일이 있어서, 가장 친한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하소연을 시작했어요.

우리가 원했던 건 오직 하나, "너 정말 힘들었겠다. 다 그 사람 잘못이야!" 하는 100%의 공감과 위로였죠.

 

친구는 처음엔 잘 들어주는 듯했어요.

"아이고, 정말 고생했네."

그런데 갑자기 친구가 조심스럽게 다른 이야기를 꺼내요.

 

"그런데 혹시 그 사람이 그런 의도가 아니었을 수도 있지 않을까? 이런 면도 한번 생각해 보면 어때?"

 

그 말을 듣는 순간, 우리 마음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?

 

따뜻했던 마음이 순식간에 차갑게 식어버려요. '내 편'이라고 믿었던 친구가 갑자기 '적'처럼 느껴지는 거예요. '어떻게 내 마음도 몰라주고 저 사람 입장을 대변할 수 있지? 날 이해하지 못하는구나.' 하는 생각에 서운함이 분노로 바뀌죠. 결국 우리는 차갑게 전화를 끊어버려요.

 

"됐어, 너랑은 말이 안 통한다. 그냥 끊자."

 

혹시 우리도 이렇게 어떤 사람이나 상황을 '완벽한 아군' 아니면 '가치 없는 적'으로, '최고의 성공' 아니면 '완전한 실패'로만 나누어 버리는 경험이 있지 않나요?

 

중간 지대가 없는 세상에 홀로 갇히는 비극 ⛈️

세상을 흑과 백, 단 두 가지 색으로만 보는 건 우리 스스로를 아주 외로운 세상에 가두는 일이에요.

우리의 세상에는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만 존재하기 때문에, 보통의 '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는' 사람들은 머물 곳이 없게 되죠.

 

우리의 친구나 연인은 늘 완벽한 내 편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릴 거예요.

조금이라도 다른 의견을 말했다가 '적'으로 규정될까 봐 두려워, 솔직한 생각을 숨기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.

 

결국 우리 주변에는 피상적인 관계만 남거나, 우리의 극단적인 기준을 견디지 못한 사람들이 모두 떠나가 버릴 수 있어요.

완벽한 관계를 원했지만, 결국 아무런 관계도 남지 않게 되는 비극을 맞이하게 되는 거죠.

세상은 회색인데, 나 혼자 흑백 필름 속에서 살아가는 셈이에요.

 

단호함이 아니라 '생각의 습관'일 뿐이에요 🏷️

이런 마음의 패턴을 '흑백논리적 사고(Black-and-White Thinking)' 또는 '이분법적 사고'라고 불러요.

이건 우리가 단호하거나 의지가 강해서가 아니에요. 복잡한 세상을 '좋음'과 '나쁨'이라는 단순한 두 개의 상자에 나누어 담아버림으로써, 머리 아픈 고민 없이 빠르게 판단하고 싶어 하는 우리 뇌의 '게으른 습관' 같은 거랍니다.

 

'인지행동치료(CBT)'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번스(David D. Burns) 박사는, 이런 흑백논리를 우울, 불안, 분노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'인지 왜곡(생각의 오류)' 중 하나로 꼽았어요. 즉, 이건 우리의 성격적 결함이라기보다는, 누구나 빠질 수 있고 또 훈련을 통해 교정할 수 있는 '생각의 버릇'이라는 과학적인 사실이에요.

 

우리의 마음은 마치 수많은 색깔의 구슬을 오직 검은 상자와 흰 상자에만 억지로 나누어 담으려고 하는 것과 같아요. 회색은 물론, 파란색, 초록색 구슬까지 모두 버려지거나 잘못 분류되고 마는 거죠.

 

 

세상의 다채로운 색을 보는 법 3가지🛠️

이제는 그 흑백 세상을 컬러로 바꿔볼 시간이에요.
우리 뇌의 '게으른 습관'을 바꾸고, 세상을 좀 더 유연하게 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3가지를 제안해 볼게요.

'의도적으로 반대편 경험하기' 

우리가 '절대 싫어!' 또는 '무조건 나빠!'라고 생각했던 것을 아주 조금만 경험해보는 행동 연습이에요.

목표는 그걸 좋아하게 되는 게 아니라, '생각보다 나쁘진 않네' 또는 '이런 면도 있구나' 하고 흑백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거예요.

  • 예시 1: '나는 락 음악은 시끄러워서 최악이야'라고 생각했다면, 딱 한 곡만 참고 끝까지 들어보기.
  • 예시 2: '나는 가지 요리는 절대 안 먹어'라고 생각했다면, 아주 작은 조각 딱 하나만 맛보기. 이런 작은 행동들은 '나쁜' 상자에 있던 것들이 사실 그렇게까지 위협적이거나 끔찍하지 않다는 것을 우리 뇌에 직접 보여줘요. 세상을 보는 우리의 생각에 작은 균열을 내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랍니다.

 

'%로 생각하기' 

흑백논리는 모든 것을 0% 아니면 100%로 봐요.

이 공식을 통해 그 사이에 숨어있는 수많은 숫자를 찾아내는 거예요.

  • 공식: "(극단적인 생각)은 몇 %나 사실일까? 나머지 %는 무엇으로 채워져 있을까?"
  • 예시: "내 친구는 완벽한 내 편이 아니야(0% 내 편)" 라는 생각이 들 때, ➡️ "음... 친구가 내 편인 건 80% 정도는 사실인 것 같아. 나머지 **20%**는 그냥 나와 생각이 다른 부분일 뿐이야. 나를 미워하는 게 아니지." 이렇게 숫자로 바꾸어 생각하는 단순한 습관이, 우리의 뇌를 극단적인 판단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눈으로 세상을 보도록 훈련시켜 줄 거예요.

 

'장단점 저울' 그려보기

어떤 사람이나 상황을 '완전히 최악'이라고 판단해버렸을 때, 종이에 간단한 '양팔 저울'을 그려보는 건 어떨까요?

  • 왼쪽 접시: 그 사람이나 상황의 나쁜 점(단점)을 전부 적어보세요.
  • 오른쪽 접시: 그리고 어떻게든 딱 한두 개라도,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좋으니 좋은 점(장점)을 찾아서 적어보는 거예요.
  • 예시: 나를 100% 공감해주지 않은 친구
    • 왼쪽: 내 마음을 완벽히 이해해주지 않았음.
    • 오른쪽: 그래도 내 얘기를 들어주려고 노력했음, 지난주에 나에게 커피를 사줬음. 이렇게 양쪽 접시에 무언가가 올려진 저울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순간, 우리는 그것이 '완전히 최악'이 아니었음을 시각적으로 깨닫게 될 거예요.

 

회색 지대는 패배가 아닌, 지혜의 공간이에요 ✨

이런 노력을 통해 우리가 얻게 될 가장 큰 선물은 바로 '마음의 여유'예요.

더 이상 사람들을 내 편과 적으로 나누며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게 되죠.

사람들의 서툰 점이나 나와 다른 점을 너그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면서, 인간관계는 훨씬 더 깊고 풍요로워질 거예요.

 

흑과 백 사이의 수많은 회색 지대를 끌어안을 수 있을 때,

우리는 비로소 세상을 있는 그대로 사랑할 수 있게 된답니다.

 

 

"일류 지성의 지표는, 서로 상반된 두 가지 생각을 동시에 마음에 품으면서도 여전히 자신의 능력을 발휘해 나가는 것이다."

- F. 스콧 피츠제럴드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